민족과 세계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인재 양성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요건

> 대학원 > 졸업요건
제목고전문학 및 인문융합콘텐츠 교과목 (2024.12.27 업데이트)2024-08-22 14:59

 

 

고전문학

인문융합콘텐츠

공통필수과목

없음

전공

필수과목*

석사

(2)

향가문학 연구

고전소설 연구

고전문학과 여성주의

구비문학연습

고시가의 정서와 미학

동아시아 서사 비교연구

고전작가 연구

시조문학 연구

판소리문학 연구

고전문학작품 연구

고전문학배경 연구

고전문학콘텐츠 연구(공동개설)

조선후기야담 연구

고전문예미학 연습

가사문학 연구

고소설작품 연구

고전문학 연구방법론

시가문학사 연구

고전서사내러티브 연구(공동개설)

한국한시 연구

한국한문학 연구

고전시가와 전통예술

조선후기 대중소설 연구

고전문학사상 연습

고려가요 연구

한문소설 연구

국문학사 연구(4)

한국문학갈래론(4)

문화콘텐츠 비평론

한류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대중문학 콘텐츠론 연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웹소설과 서브컬처 연구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연구(공동개설)

인문융합과 문화이론 연구

웹툰 스토리텔링 연구

문화콘텐츠와 문화기호학

문화원형의 이론과 실제

문화콘텐츠 트렌드 연구

문화콘텐츠 창작소재 개발론

한류문화 연구

플랫폼콘텐츠 연구

게임인문학

동아시아 대중문화 비교연구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

인문융합과 빅데이터 연구

인문콘텐츠와 캐릭터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디지털게임 문화 연구

신화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공동개설)

박사

(3)

전공

선택과목

 

 

예비과목

전공

선택

고전문학이론 연습

고전문학강독

국문학자료 연습

동아시아 비교문학 연구

한국시화 연구

고전시가형식 연구

사설시조 연구

애정시가 연구

시조감상과 창작

고전소설 유형론

고전소설 비평론

고전소설매체 연구

한국신화 연구

설화문학 연구

고전문학과 디지털문화

고전문학과 환상성

문화원형콘텐츠 연구

인문융합콘텐츠 기획론

동양고전과 문화콘텐츠 연구

축제·이벤트의 분석과 활용

구비문학과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학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 연구

지역문화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고전시가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고전서사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문화콘텐츠와 문화마케팅

문화콘텐츠와 인터랙티브 연구

문화콘텐츠 프로젝트 심화 연구

영상콘텐츠의 분석과 활용

영화 스토리텔링 연구

드라마 스토리텔링 연구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연구

동화 스토리텔링 연구

공연예술 콘텐츠 연구

인문융합콘텐츠 세미나

문화콘텐츠와 예술철학

서브컬처와 팬덤 연구

K-Culture와 대중문화

 

* 공동개설 과목은 고전문학과 인문융합콘텐츠에서 공동으로 개설하는 교과목을 표시한 것임. 고전문학 과목 중에서 고전서사내러티브연구, 고전문학콘텐츠연구, 인문융합콘텐츠 과목 중에서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연구, 신화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가 이에 해당함. 공동개설 과목은 모두 전공필수로 개설함.

** 영역은 위의 한국어교육과 동일함. 고전문학 과목 중에서 국문학사연구와 한국문학갈래론이 4영역에 해당함.